Mac 사용법/1) 기본 사용과 단축키

맥에서 키보드 다루는 법 : 이모티콘, 한자, 텍스트 대치, 언어 바꾸기 등

frogOlis 2022. 4. 25. 23:00

오늘은 텍스트 입력과 키보드에 대해서 작성해 보았습니다~

 


1. 이모티콘/특수문자 입력하기

특정 문자 길게 누르기 

- a àáâäæãåā   - c çćč  - e èéêëēėę  - i îïíīįì  - l ł
 - n ñń  - o ôöòóœøōõ  - s ßśš  - y ÿ  - z žźź

 

단, 키 반복이 끔 상태로 되어 있으면, 이 기능은 동작하지 않는다. 

 

 

2. opt + 키보드 문자 누르기 

 ⌥ + `  `  ⌥ + q  œ    
 ⌥ + 1  ¡  ⌥ + w  ∑  ⌥ + a  å  ⌥ + z  Ω
 ⌥ + 2  ™  ⌥ + e  ´  ⌥ + s  ß  ⌥ + x  ≈
 ⌥ + 3  £  ⌥ + r  ®  ⌥ + d  ∂  ⌥ + c  ç
 ⌥ + 4  ¢  ⌥ + t  †  ⌥ + f  ƒ  ⌥ + v  √
 ⌥ + 5  ∞  ⌥ + y  ¥  ⌥ + g  ©  ⌥ + b  ∫
 ⌥ + 6  §  ⌥ + u  ¨  ⌥ + h  ˙  ⌥ + n  ˜
 ⌥ + 7  ¶  ⌥ + i  ˆ  ⌥ + j  ∆  ⌥ + m  µ
 ⌥ + 8  •  ⌥ + o  ø  ⌥ + k  ˚  ⌥ + ,  ≤
 ⌥ + 9  ª  ⌥ + p  π  ⌥ + l  ¬  ⌥ + .  ≥
 ⌥ + 0  º  ⌥ + [  “  ⌥ + ;  …  ⌥ + /  ÷
 ⌥ + -  –  ⌥ + ]  ‘  ⌥ + '  æ  
 ⌥ + =  ≠  ⌥ + \  «    

키 조합대로 입력 시 해당 이모티콘이 타이핑된다.

 

3. opt + ⇧shift + 키보드 문자 누르기

 ⌥ + ⇧ + ` `  ⌥ + ⇧ + q  Œ    
 ⌥ + ⇧ + 1   ⁄   ⌥ + ⇧ + w  „  ⌥ + ⇧ + a  Å  ⌥ + ⇧ + z  ¸
 ⌥ + ⇧ + 2  €  ⌥ + ⇧ + e  ´  ⌥ + ⇧ + s  Í  ⌥ + ⇧ + x  ˛
 ⌥ + ⇧ + 3  ‹  ⌥ + ⇧ + r  ‰  ⌥ + ⇧ + d  Î  ⌥ + ⇧ + c  Ç
 ⌥ + ⇧ + 4  ›  ⌥ + ⇧ + t  ˇ  ⌥ + ⇧ + f  Ï  ⌥ + ⇧ + v  ◊
 ⌥ + ⇧ + 5  fi  ⌥ + ⇧ + y  Á  ⌥ + ⇧ + g  ˝  ⌥ + ⇧ + b  ı
 ⌥ + ⇧ + 6  fl  ⌥ + ⇧ + u  ¨  ⌥ + ⇧ + h  Ó  ⌥ + ⇧ + n  ˜
 ⌥ + ⇧ + 7  ‡  ⌥ + ⇧ + i  ˆ  ⌥ + ⇧ + j  Ô  ⌥ + ⇧ + m  Â
 ⌥ + ⇧ + 8  °  ⌥ + ⇧ + o  Ø  ⌥ + ⇧ + k    ⌥ + ⇧ + ,  ¯
 ⌥ + ⇧ + 9  ·  ⌥ + ⇧ + p  ∏  ⌥ + ⇧ + l  Ò  ⌥ + ⇧ + .  ˘
 ⌥ + ⇧ + 0  ‚  ⌥ + ⇧ + [  ”  ⌥ + ⇧ + ;  Ú  ⌥ + ⇧ + /  ¿
 ⌥ + ⇧ + -  —  ⌥ + ⇧ + ]  ’  ⌥ + ⇧ + '  Æ  
 ⌥ + ⇧ + =  ±  ⌥ + ⇧ + \  »    

키 조합대로 입력 시 해당 이모티콘이 타이핑된다.

 

4. ⌃ctrl + ⌘cmd + ␣space 누르기

⌃ctrl + ⌘cmd + ␣space를 누르면 이모티콘 선택 창이 뜬다.

우측 상단에 있는 메뉴 버튼을 누르면 커진다. 

메뉴 막대에서도 접근이 가능하다.

편집 - 이모티콘 및 기호를 클릭하면 된다.

 

 - 환경설정 - 키보드- 키보드 탭 - 🌐fn 키를 눌러 다음을 실행 키를 누르면, '이모티콘 및 기호 보기'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

fn 키를 눌러 곧바로 출력되게 만들 수 있다. 

 


2. 한자 입력하기

한자 입력할 부분을 블럭 처리 후, ⌥opt + ↩︎enter 를 입력하면 된다.

 

 - 환경설정 - 키보드 - 입력 소스 - 두벌식 - 입력 포멧

여기에서 한자, 한자(한글), 한글(한자) 표기 방식을 정할 수 있다. 


3. 텍스트 대치 사용

개인적으론 이모지 또는 몇몇 특수문자 기호에 활용하면 좋을 기능으로 생각함.

다만, 모든 입력에 적용되는 건 아니고 앱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한정됨. 

맞춤법 자동 수정이 체크되어 있으면 자동으로 바꾸고, 아닌 경우 선택이 가능하도록 좌측처럼 윈도우가 뜬다.  

 

+ 버튼으로 새로운 규칙을 입력할 수 있고 - 버튼으로 규칙을 삭제할 수 있다. 

 


4. 여러 언어 사용 (한국어 + 영어 + 제 2 외국어)

입력 메뉴- 두벌식 환경설정 또는 환경설정 - 키보드 - 입력소스 탭

 

+ 버튼으로 추가 -로 삭제 가능함.

다만 언어 하나가 추가될 경우 capslock으로 언어 변경하는 게 어려워진다. 

capslock키는 이전 사용 언어 - 영어 간의 1:1 전환으로만 사용이 가능하다. 

그래서 3개의 언어를 변경하며 진행할 수는 없다. 

 

그래서 3개 언어 이상으로 바꿔가며 사용할 때에는

⌃ctrl + ␣space 또는 ⌃ctrl + ⌥opt + ␣space로 바꿔 주면 된다. 

 

⌃ctrl + ␣space는 따로 언어를 선택해야 하지만

⌃ctrl + ⌥opt + ␣space는 다음 언어로 넘겨만 주기 때문에

개인적으로 이 단축키 사용을 추천한다. 


5. 빠른 이동

 

⌃ctrl + 방향키로 글의 시작과 끝(↓↑), 줄의 시작과 끝(←→)으로 이동할 수 있다. 

⌥opt + 방향키로는 문단의 시작과 끝(↓↑), 단어 간 이동(←→)을 할 수 있다. 

 

글 줄에서 이동이 번거로운 경우 쓰면 좋다. 


이렇게 텍스트 입력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. 

슬슬 다룰 만한 컨텐츠가 끝나고 있네요, 

 

이번 주부터는 아마 앱 사용으로 슬슬 넘어가지 않을까 합니다.